네트워크
네트워크란?
- 각 엔드포인트(PC, 서버 등의 단말)간의 자원들을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디지털 통신 네트워크
- 장거리 통신인 알파넷을 시작으로 네트워크 통신이 발전되기 시작
Net + Work ⇒ Network
컴퓨터들이 통신 기술을 이용해 그물망처럼 연결된 통신 이용 형태
→ 두 대 이상의 컴퓨터들을 연결하고 서로 통신(이야기)할 수 있는 것
인터넷과 인트라넷
- 인터넷
- 네트워크(Net)을 묶는다(Inter)의 의미로 “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묶었다”라는 뜻으로 쓰임
- 하나의 프로토콜 가지고 통신
- 브라우저 통한 접근
- 인트라넷
- 내부의 인터넷을 의미
- 하나의 프로토콜을 가지고 통신
- 엑스트라넷
- 사내를 포함한 협력회사나 고객이 접근 가능
- 하나의 프로토콜 가지고 통신
프로토콜
- 사전적 의미
-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
- 형식, 의미, 동기 과정을 정의하지만 구현과 방법은 독립적
- 구성
- 물리적 측면 : 자료 전송에 쓰이는 전송 매체, 단자, 신호, 회선 규격 등
- 논리적 측면 : 프레임 구성, 각 항목의 뜻과 기능, 전송의 절차 등
- 프로토콜의 3요소
- 구문
- 의미
- 기간
- 기능
- 단편화와 조립
- 캡슐화
- 연결 제어
- 흐름 제어
- 오류 제어
- 동기화
- 순서 지정
- 주소 지정
- 다중화
- 전송 서비스
네트워크 분류
규모에 따른 분류
- WAN
- Wide Area Network
- MAN
- Metropolitan Area Network
- LAN
- Local Area Network
- 백본 통신망(Backbone Network)
- 기간망
- 네트워크의 최상위 레벨로 네트워크의 중심을 이루는 주요 통신망
- ISP(Internet Service Provider)
- KT dns를 제공함
- 유해사이트 차단
위상에 따른 분류
- 네트워크 토폴로지
- 컴퓨터 네트워크 요소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해 놓은 것 또는 연결 방식을 의미함
- LAN의 경우 물리적 토폴로지와 논리적 토폴로지로 가능
- 종류
- 버스형
- 스타형
- 링형
- 트리형
- 메시형
- 기타 등등
전송 매체에 따른 분류
- 교환 시스템
- 회션 교환 방식
- 고정 대역이 할당된 연결을 설정해 데이터 전송하는 방식으로 통로가 지정되어 있는 형태
- 안정적인 전송률과 라우팅 작업이 간편
- 접속에 상대적으로 긴 시간 필요
- 패킷 교환 방식
- 일정한 크기로 데이터 나누어 독립적 라우팅 과정을 거쳐 목적지에 도달하는 형태
- 가상 회선 방식과 데이터그램 방식으로 나뉨
- 가상회선 방식 : 송수신 호스트 사이에 가상 연결 설정, 모든 단위 데이터의 전달 경로 동일
- 데이터그램 방식 : 경로 선택이 각 단위 데이터와 독립적으로 전송
- 셀 교환 방식
- 전송에 필요한 최소 기능만 포함한 고정된 크기 셸을 생성해 전송하는 방식
- 패킷 교환 방식과 유사하며, 연결 지향 패킷 교환 네트워크 사용
- 네트워크 연결 시 가상 회로 설정해 스위칭 시간 최소화로 네트워크 처리량 증가
- 헤더는 페이로드 유형 정보, 가상 회선 식별자, 오류체크 정보 포함
- 실시간 스트리밍
- 회션 교환 방식
연결 방식에 따른 분류
분류 유선망 무선망 모바일망
매개체 | Twisted Pair 케이블, 동축케이블, 광섬유 케이블 | 전파 | 전파 |
표준 | IEEE 802.3 | IEEE 802.11, | |
IEEE 802.15 등 | IEEE 802.16 | ||
IMT-2000 | |||
최고 전송속도 | 1000Gbits/s(광섬유 테이블) | 866.7Mbits/s (802.11ac) | 672Mbits/s (HSPA+ WIMAX) |
유선망
- 컴퓨터 네트워크 연결을 유선으로 구성하는 경우 유선 LAN 이라고 부름
- 특징
- 대표적 LAN 환경에서 많이 사용 되는 유선망 형태는 Ethernet (IEEE 802.3 표준방식)
- 무선망에 비해 속도가 빠르고 보안에 유리
- 설치 비용이 큼
- 동축, 광섬유 케이블 등이 사용됨
무선망
- 선이 없이 구성된 형태의 컴퓨터망
- 일명 WIFI망
- 컴퓨터는 핫스팟 내에서 AP(Access Point)를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 망에 접속
- 장점 : 케이블 연결이 불필요해 설치가 쉽고 설치 비용이 저렴
- 단점 : 보안이 취약함
모바일망
- 무선망 단점 보완하기 위해 수 킬로미터 지역을 지원하는 셀(Cell) 형태의 모바일망 개발
- 단점 : 수십 미터 반경의 핫스팟 지역에서만 인터넷 사용 가능. 이동 중에는 사용할 수 없음
- 특징
- WiBro(Wireless Broadband) 기술 LTE(Long Term Evolution) 기술 등 존재
- 셀 밖에서는 모바일망에 연결 불가
이더넷
- 여러 개 호스트가 하나의 매체/링크 공유해 동시에 접근하는 경우 충돌 발생
- 링크 공유하는 경우 원할한 통신 위해 서로 간의 약속이 필요하며 이러한 네트워크 방식을 말함
- 버스형 토폴로지의 경우가 일반적인 링크 공유하는 형태
- 버스형 토폴로지는 충돌이 잦음
- 공유 링크에 접근하기 위한 프로토콜 중 임의 방식 사용하는 프로토콜
- ALOHA, CSMA, CSMA/CD, CSMA/CA
CSMA
-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반송파 감지 다중 접근
- 각 지국이 전송하기 전에 상태 확인하는 방식
- 프레임이 전송되는 시간차로 인해 휴지(Idle : 쉬는 상태) 상태라면 즉시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
- CD
- Collision Detection 충돌 감지
- 프레임을 전송함과 동시에 두 개의 다른 포트 이용하고, 충돌 감지해 재전송 시간을 책정
- CA
- Collision Avoidance 충돌 회피
-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됨
- 전송을 늦추어서 충돌을 회피함
네트워크 모델
- 추상화 모델인 계층 구조의 OSI 7 Layer 와 TCP/IP 모델이 존재
- 계층 구조와 추상화로 여러 특징이 존재
- 각 계층별 역할이 독립적
- 계층별 관리로 유지보수가 효율적
-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대
- 비교적 쉬운 이해 가능
- 복잡성 감소
OSI 7 Layer(Open System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)
- 특징
- 국제 표준화 기구(ISO)에서 개발한 모델
-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 계층화 한 모델
- 7 계층으로 구분되어 있는 형태를 지님
TCP/IP 모델
- 특징
- IP와 TCP로 이루어진 모델로 TCP 기반으로 한 많은 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이 IP 위에서 동작하는 형태기 때문에 TCP/IP로 불리움
- 4계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쓰이는 형태
- 자료에 따라 5계층으로 분류하기도 함
OSI 7 계층
1~3 계층 : 미디어 계층 / 4~7 계층 : 호스트 계층
물리 계층
- 특징
-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물리적 링크를 설정, 유지, 절단
- 전압 레벨, 변환 시기, 물리적 데이터 최대 전송량, 전송 거리 등 정의
- 종류(하드웨어)
- 동축 케이블, 광 케이블
- 어댑터, 모뎀, 리피터(또는 중계기), 허브
- 종류(소프트웨어 단위)
- 핀, 전압, 라인 임피던스, 케이블 사양, 무선 장치의 주파수
- 단위 : 비트
- 전송 모드
- 단방향 : 일방적으로 한쪽 방향으로만 송신하는 방식(ex. TV, Radio)
- 반이중 :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나 동시에 송수신 불가능(ex. 무전기)
- 전이중 : 양방향 실시간 통신 가능(ex. 전화)
케이블
10 | BASE | T |
속도 | 통신 방식 | 종류, 거리 |
- 속도
- 앞 숫자 기준은 Mbps(Megabit Per Second) 단위
- BPS(Byte Per Second)와 다름
- 앞 숫자 기준은 Mbps(Megabit Per Second) 단위
- 통신방식
- Baseband(디지털 방식)와 Broadband(아날로그 방식)로 나뉨
- UTP 케이블
- 명칭 : 10/100 BASE-T
- Connector : RJ-45
- 연결거리 : 100M
- 종류
- Direct Cable
- 색상화 된 선들 순서가 각각 끝에서 동일하며 1:1 케이블
- 허브 내부에서 송신-송신, 수신-수신으로 바뀜
- 색 순서 : 흰주 - 주 - 흰초 - 파 - 흰파 - 초 - 흰갈 - 갈
- 용도 : PC ↔ HUB (송수신 바꿔줌)
- Crossover Cable
- RJ-45끝 핀 1번 다른 끝 핀 3번에 접속, 핀 2번은 다른 끝 핀 6번 접속
- 허브가 하는 수신-송신, 송신-수신 하는 일을 케이블을 꼬아 놓은 것으로 대체하는 것
- 색 순서 : 흰주 - 주 - 흰초 - 파 - 흰파 - 초 - 흰갈 - 갈 and 흰초 - 초 - 흰주 - 파 - 흰파 - 주 - 흰갈 - 갈
- Rollober Cable
- Direct Cable
- 동축 케이블
- LAN선?
- 광 케이블
- 유리자원 풍부
- 백본 용도로 많이 사용
- 비쌈
허브
- 멀티포트와 리피터 역할을 합친 기기
- CSMA/CD 방식 따름
-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에 데이터 전송하고 데이터 수신한 단말에서 판단함
- 종류
- 인텔리전스 허브
- 네트워크 관리시스템(NMS)를 통한 제어 가능
- 데이터 분석, 제어, 감시 기능 제공
- 지속적으로 충돌이 감지되는 기기 차단
- 세미 더미 허브
- 더미 허브와 인텔리전스 허브가 서로 연결된 형태의 허브
- 인텔리전스 허브 역할 수행
- 더미 허브
- 네트워크 관리 기능 제공하지 않는 일반적인 허브
- 인텔리전스 허브
데이터링크 계층
- 특징
- 물리적 주소(MAC) 기반으로 하드웨어 간 통신
- 보내는 측과 받는 측 사이의 속도 차이를 보장하는 흐름 제어
- 오류와 잡음으로 인한 에러 보정 위한 에러 제어 기능
- ARP Table → ARP는 2.5계층
- 기능
- 포인트 투 포인트 간 신뢰성 있는 전송 보장하기 위한 계층으로 CRC 기반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, 재전송 기능을 제공
- MAC 주소를 사용하며 주소 체계 자체는 계층이 없는 단말 구조
- 프로토콜
- 주로 이더넷
- 포인트 투 포인트 : HDLC, ADCCP
- 근거리 네트워크용 : LLC, ALOHA
- 종류(하드웨어)
- 스위치
- L2 스위치
- LAN을 분리된 콜리전 도메인으로 분할
- MAC 주소 기반으로 LAN 구성하는 2계층의 대표적인 네트워크 장비
- 특징
- 다수의 스위치 포트 존재
- 빠른 스위칭 가능
- 많은 프레임 버퍼
- 포트 당 적은 비용
- 포트 간 속도의 혼합 기능
- 브릿지
- 허브에 연결된 두 PC만 통신하게 되면 순간의 다른 PC의 통신이 불가(CSMA/CD 방식이 원인)
- 다른 네트워크(LAN)으로부터 연결해주는 역할 ⇒ 직통 연결
- 프레임의 데이터로부터 정보 처리하며 MAC 주소 사용
- 스위치
스위치 & 허브?
- 허브는 라인에 대역폭 분할해 데이터 전송, 스위치는 대역폭을 5대의 컴퓨터에 모두 적용
- 스위치에는 CPU와 메모리(ARP Table) 존재, 허브는 전기 멀티탭과 같은 단순한 분배 장치
네트워크 계층
- 특징
- 상위 계층에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전송과 경로 선택 기능 제공
- 발신지 호스트에서 목적지 호스트까지 각 패킷의 전달에 대한 책임
-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해 최적의 경로 선택
-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분할해 전송 후 재결합
- Packet 단위를 사용하며, 32bit 주소 공간 체계(IPv4 기준)
- 보통 라우터 장비에서 사용되는 주소 체계를 갖고 있으며, IP, ICMP, IGMP 프로토콜 가짐
- 라우팅 네트워크
- 계층을 한마디로 정의하는 기능이 라우팅
전송 계층
- 특징
- 목적지와 발신지 사이의 통신에서 에러 제어와 흐름 제어 담당
- 신뢰 있는 통신 연결 제어 ⇒ TCP
- 비신뢰성 통신 연결 제어 ⇒ UDP
-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분할해 전송 후 재결합
- 세그먼트 단위 사용
세션 계층
- 특징
- 포트(port) 연결을 이용해 통신장치 간의 상호작용 설정
- 통신 프로토콜(SSH, TLS) 사용
- SSH : 5계층
- SSHD : 7계층
- Ping : 7계층
- ICMP : 3계층
- 두 시스템 간의 대화(누가 언제 통신하였는지 결정해 토큰 교환) 허용
표현 계층
- 특징
-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 하나의 표현 형태로 변환
- 프로토콜은 JPEG, MPEG, SMB, AFP 등 문자나 그래픽 형태
- 중요한 정보 전달하기 위해 시스템은 비밀성 보장
- 암호화 : 원래 정보 다른 형태로 변환
- 복호화 : 암호화된 메시지를 원래의 메시지로 변환
어플리케이션 계층
- 특징
- 프로토콜 : 텔넷, FTP, 전자우편(POP, SMTP), HTTP 등
-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받아 하위 계층으로 전달
- 하위 계층에서 전달하는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역할
- 여러가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하는 실질적인 계층
- 특정 네트워크 서비스 기능 수행하는데 필요한 프로토콜 지원
OSI 7 계층 정리
→ 계층별 프로토콜 및 장비
'정보보호과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주차(1) - 2022/03/07 리버스 엔지니어링 개요 (0) | 2022.03.07 |
---|---|
4주차(2) - 2022/03/02 프로그래밍 개론 (0) | 2022.03.02 |
4주차(1) - 2022/02/28 프로그래밍 개론 (0) | 2022.02.28 |
3주차(4) - 2022/02/24 리눅스 기초 (0) | 2022.02.24 |
3주차(3) - 2022/02/23 리눅스 기초 (0) | 2022.02.23 |